• 청렴윤리인권 자료실
  • 청렴윤리인권 사례

청렴윤리인권 사례

[기본] 주요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현황

관리자 2019.12.05 11:24 조회 1125

주요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현황


2018년 사회공헌 지출 현황


(지출액) 주요 기업 206개사가 2018년 한 해 동안 지출한 사회공헌비용 총 규모는 26,060 5,809만원, 평균 금액은 1265,077만 원으로 조사됨


(경영성과 대비) 매출액 대비 사회공헌 지출 비율은 0.16%, 세전이익 대비 사회공헌 지출 비율은 1.9%로 나타남


(분야별 지출 현황) 분야별로는 ‘취약계층 지원’에 대한 지출비중(37.6%)이 가장 높았으며,


‘교육 · 학교 · 학술’(14.7%), ‘문화예술 · 체육’(11.0%), ‘창업 지원’(10.9%) 부문도 높게 나타남


 


2018년 기업 사회공헌활동 특징


(키워드) 최근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특징 및 동향은 ‘U.P.G.R.A.D.E’ 로 요약 가능함


U : UN SDGs (지속가능발전목표)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지지하고 자사 활동에 연계


P : Problem-solving (문제해결)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고민하고 지역사회에 공헌


G : Green (친환경) 환경 친화적 경영 및 관련 사회공헌활동 추진


R : Relationship (관계개선) 지역사회·협력사 등 이해관계자 관계개선 지향


A : Analysis (가치분석) 사회적 가치 창출 효과에 대한 다면적인 분석 시도


D : Donation (기부) 다양한 기부 플랫폼 마련과 활발한 물적·인적자원 기부


E : Education (교육)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사회공헌활동 지속 및 다양화


(특징) 기업들은 장기간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며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, 사회공헌의 질적 ‘업그레이드(UPGRADE)’와 사회적 가치 창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고민을 지속하고 있음


 


□ 신규 사회공헌 프로그램 현황


(사업대상) 2017년 이후 신규 론칭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35.5%가 ‘아동 · 청소년’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, 이어 ‘장애인’ 대상 프로그램이 14.9%로 나타남. 그밖에 청년창업가 · 취업준비생 · 신인문화예술인 등을 포함한 ‘기타’ 부문이 9.1%로 큰 비중을 보임


(특징) 대상 · 분야 · 지역별 포트폴리오의 다양화를 시도하는 가운데, 소속 그룹 및 자사 사회공헌 브랜드의 연속성을 고려한 프로그램들이 신규 론칭됨


 


□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 현황


(사업대상) 응답기업이 밝힌 자사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의 대상은 ‘아동 · 청소년’이 37.2%로 가장 많았음. 이어 ‘장애인’(10.7%), ‘노인’(9.8%) 순으로 조사됨


(UN SDGs 연계성)UN SDGs 17개 주요 목표 중에서는 ‘건강과 복지(Goal 3)’ 및 ‘양질의


교육(Goal 4)’과 관련된 사회공헌 프로그램이 가장 큰 비중(41.0%)으로 나타남


 


□ 임직원 봉사활동 현황


(참여율 및 참여시간) 분석기업의 46.7%는 절반 이상의 임직원들이 봉사활동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, 봉사활동 참여 임직원의 1인당 연간 평균 봉사활동시간은 7.5시간으로 조사됨


(봉사촉진제도) 주요 기업들은 임직원 봉사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임직원 주도형 봉사활동


프로그램, 자원봉사 관련 이벤트 개최 및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사내제도를 운영 중임


 


□ 기업 사회공헌 인식 현황


(추진성과 만족도) 사회공헌 추진 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‘지역사회 기여’ 측면이 평균 4.4


(5점 만점)으로 가장 높았으며, ‘재무적 성과 연계’는 3.3점으로 가장 낮았음


(고려사항) 사회공헌 프로그램 운영 시 기업들은 ‘지역사회가 당면한 문제 해결 및 지역 발전 기여도’(28.3%)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남


(관심분야)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들의 관심분야는 ‘취약계층 지원’(28.0%), ‘교육 · 학교 · 학술’(20.8%), ‘문화예술 · 체육’(13.4%), ‘환경 보전’(11.6%) 등으로 조사됨


□ 채용 및 기타 부문 사례


(채용)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, 정형화된 채용 기준을 탈피하거나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위한 채용을 별도로 배려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모색하고 있음


(기타) 그밖에도 다양한 대상과 영역에 대하여 상생협력과 자립기반 마련 지원, 사회적 사각


지대 해소, 동종·이종업계 간 협업 등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


 


[출처 : 전경련 <2019 주요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>]